구기 종목 중 하나로, 공을 링(림)에 넣는 것을 득점으로 하여, 제한 시간 안에 득점을 해 점수가 1점이라도 더 높은 쪽이 승리하는 경기이다. 한 팀당 5명의 선수가 선발된다. 주로 전후반전, 혹은 4쿼터로 진행되며, 전후반의 경우 20분씩 총 40분, 4쿼터의 경우 한 쿼터당 10분, 총 40분이 경기 규정 시간이다.
변종 종목으로 3×3 농구라 하는, 하프 코트(Half Court)에서 골대 하나를 놓고 하는 농구도 있다. 일명 길거리 농구 혹은 Street Ball. 또한, 여성 전용 구기인 넷볼이 19세기 말 농구에서 파생되었다.
역사
1891년 미국 메사 추세츠주 스프링필드의 YMCA 체육학교에서 근무하던 캐나다인 제임스 네이스미스가 YMCA 체육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가르칠만한 실내운동을 고안하던 중, ‘지상에서 10 피트 정도 떨어진 바구니에 공을 넣으면 어떨까?’라는 아이디어에서 착안되었다. 그는 자신의 아이디어에 겨울 스포츠의 필요성과 속도감, 그리고 실내라는 한계성을 고려해서 13개의 기본 조항을 제정한 후, 처음으로 농구 경기를 창안하였다. 미식축구와 달리 몸싸움이 없는 안전한 스포츠를 만들고 싶어서 고안하게 되었다고 한다.
강력한 몸싸움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현재의 농구를 보면 ‘이게 뭔 소리야?’ 싶겠지만 네이스미스 박사는 처음 농구를 고안할 때, 선수들 간의 과도한 신체 접촉을 배제하는 스포츠를 만들려고 했다. 그러나 농구가 생긴 지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아 과격한 몸싸움은 자연스럽게 용인되었다.
처음에는 그냥 평범한 복숭아 바구니를 매달아서 공을 던져 넣는 경기로 만들었는데,초창기엔 득점을 하면 바구니에서 공을 빼야 했기에 경기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도중 집에서 쓰다가 낡은 바구니에 공을 던졌더니 바구니 밑이 뚫려 경기가 끊기지 않고 바로 진행될 수 있어서 지금과 같은 골대가 창안되었다고 한다. 이 시범 경기를 본 체육학교 고위부들도 매우 높이 평가했으며, 이 스포츠 이름을 창안자 이름을 따서 네이스미스 볼로 지으려고 했으나, 네이스미스가 거절하면서 결국 직관적인 바스켓볼이란 이름이 되었다.한국에서 지칭하는 농구(籠球)라는 이름 역시 이 바스켓볼을 직역한 말이다. 최초의 농구 경기는 1892년 1월 20일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스프링필드 대학교에서 열렸다. 농구는 1891년 12월에 고안됐지만, 규칙 발표랑 공식 경기는 이듬해인 1892년에 이루어진 것이다.
농구공은 1894년에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농구공을 처음 개발한 곳은 미국의 스팔딩이었는데 여기서 골대도 만들었다. 하지만 1890년대 골대는 매우 불편했다. 링(공을 넣는 둥근 부분)에 손잡이가 달려서 당겨야지 밑이 열리며 공이 떨어지는 구조였다. 경기 도중 골이 들어가면 심판이 경기를 멈추고 이걸 당겨서 림에서 공을 빼내 경기를 이어하는 방식이었는데, 이걸 본 네이스미스는 “이건 그냥 바구니에 공을 넣고 빼내는 거랑 다른 게 뭐냐?”라고 했고, 결국 이 림은 오래가지 않아 파기되고, 밑에 구멍이 뚫린 지금의 골대가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출전 선수 제한이 없어서 양 팀에서 무려 20여 명이 다 나와 한 경기에 50여명 선수가 몰려들어 경기가 이뤄지기도 했기 때문에 아예 팀별로 코트를 양분해서 가드는 자기 코트에서 수비만 하고, 포워드는 상대 팀의 코트에서 공격만 했으며 중앙에 있다가 양쪽 모두를 오갈 수 있는 포지션으로 센터를 두기도 하였다. 중앙선을 기준으로 뒤쪽에 있는 가드들을 백코트, 앞에 있는 포워드와 센터를 프런트코트라고 불렀으며 이게 현재까지도 선수들을 포지션으로 나누는 용어로 사용된다. 어느 한 번은 이긴 팀이 거둔 점수가 1:0이었다. 지금처럼 100점대 점수가 나오는 농구에 익숙한 이들이 봤더라면 참 답답한 경기 구성이었을 듯하다.
농구 발전에 있어서 큰 기여를 한 게 바로 미국 유대인 사회였다. 유대인들은 주로 밖에서 활동하는 운동 같은 것을 꺼렸는데, 혈기왕성한 젊은이들과 청소년들에게 실내에서 여러 명이 땀을 흘리고 구기 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엄청난 매력이었고, 192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농구라면 유대인들이나 하는 것으로 취급되었다. 아닌 게 아니라 아예 농구선수의 70%를 유대인이 이룰 정도였다.
이 당시 주류 사회 백인들이나 이민자들은 약구나 미식축구등을 좋아했다. 하지만 차츰 다른 사람들도 농구의 매력에 빠져들었으며, 주로 대학가를 중심으로 아마추어 농구단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60년대만 해도 백인층도 많이 하던 스포츠였으나, 지금은 흑인들이 주로 하는 스포츠이고 흑인 비중이 높아졌다. 하지만 지금도 유태인 나라인 이스라엘에서 축구를 능가하는 구기 종목으로 인기를 가지고 있고, 이스라엘 유태인으로선 처음으로 2000년대 후반에 와서야 옴리 카스피가 NBA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NBA 후원사 중 하나인 시온스 은행을 비롯한 유태인 자본력 투자도 엄청난 종목이다. 유대계 자본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많지만 애초에 농구라는 운동을 보급하고 프로 농구를 키운 것이 바로 유대계 사회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유태인들의 농구에 관한 관심과 투자는 당연한 일이다. 이러다 보니 NBA 간부 중에도 유대인이 많아서 30년이나 장기 집권하던 전 NBA 총재 데이빗 스턴이나 2014년에 새롭게 총재에 오른 아담 실버도 유대인이다.
1932년에는 국제농구연맹이 결성, 전 세계에 통일된 농구 규칙을 전파하였다. 1936년 제11회 베를린 올림픽 대회에서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76년 제21회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여자 종목이 채택되었다. 또한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회 때부터는 프로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을 허용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여자 농구의 경우에는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온 이민자이며, 매사추세츠의 스미스 여자대학교에서 체육교사로 일하던 센다 베런슨이 네이스미스가 농구를 만든 다음해인 1892년 농구 규칙을 조금 더 부드럽게 수정하여 여학생들에게 전파했고 크게 인기를 끌면서 여자 농구도 대중적으로 퍼지기 시작했다.
농구의 발명자인 제임스 네이스미스는 1959년, 여자 농구를 전파한 센다 베런슨은 1985년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한때는 FIBA 회원국이 FIFA 가입국보다 많았던 적도 있었으며, 다른 스포츠와 달리 경기 규칙을 자주 개정하여 보다 흥미로운 스포츠로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미국이 NBA 선수들로 선발한 일명 드림팀을 구성하면서 압도적인 성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일본야구중계 미국의 이런 결정은 NBA가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이뤄진 성과로 결과적으로 NBA의 세계화는 성공하여 미국을 벗어나 세계적인 인기와 더불어 전세계 다양한 국가의 선수들이 NBA에서 뛰는 결과를 낳게 했다.
FIBA에서 FIBA 농구 월드컵의 대회 권위를 높이기 위해 2020 도쿄 올림픽부터 올림픽 축구처럼 나이 제한을 추진하려 했으나 IOC의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1]NBA에서도 자국 선수 보호 때문에 나이 제한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FIBA 농구 월드컵의 개최년도가 18회 대회부터 올림픽 바로 전년도에 개최되기 때문에 국제대회를 연달아 치러야 하는 국가들의 입장, 특히 일정이 빡빡한 NBA 선수들에게는 힘들어질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구 월드컵과 올림픽이 연달아 개최하면서 축구 월드컵을 피해 개최년도를 옮긴 농구 월드컵이 오히려 올림픽에게 피해를 받고 있다. 다른 나라들은 문제없지만 NBA에서 뛰는 미국 선수들이 농구 월드컵보다 올림픽을 중요시하면서 당장 2019년에 중국에서 열릴 2019 FIBA 농구 월드컵 중국에 참가하는 미국 대표팀 선수 구성이 전 대회에 비해 무게감이 많이 떨어졌다.
2020 도쿄 올림픽부터는 3X3 농구 종목이 추가되었다.
올림픽에서 치뤄지는 다른 구기종목과 마찬가지로, 농구 또한 초창기 대회에선 참가만 하면 본선 대회에 뛸 수 있었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처음 국가대항전 개념으로 농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21개국이 참가해서 경쟁했다. 이후 1948년 2차대전 전후 다시 부활한 올림픽에서 23개국이 경쟁해 지금까지도 최다 출전팀이 경쟁한 대회로 역사에 남게 되었고,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8강 진출이라는 기염을 토했다.해외축구중계
이후 1952년 헬싱키 대회에서 예비 라운드 개념이 도입되었고, 1960년 로마 올림픽부터 지역예선 개념이 도입되어 16개국 체제 본선 대회로 정비되었다. 그러나 8개팀 * 2개조 조별리그 시스템이 너무 빡빡한 일정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으며 결국 1976년 몬트리올 대회부터 12개국 본선 체제로 축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무료중계